*코딩 문제풀이가 중요
1.식별자 표기법의 종류
- 카멜 표기법, 파스칼 표기법, 스네이크 표기법, 헝가리안 표기법
식별자 표기 시에 여러가지 단어가 이어지면 첫단어만 소문자고 나머지 각 단어는 대문자로 표기
- 카멜 표기법
식별자 표기 시에 여러 단어가 이어지면 각 단어의 첫글자는 대문자로 표기
- 파스칼 표기법
식별자 표기 시에 여러 단어가 이어지면 단어 사이에 언더바(_)를 넣어 표기
- 스네이크 표기법
4.JSON text 파일을 해석하고 자바 오브젝트로 변환하는 JSON 도구
- 파서
5.자바를 text로 표현하는 JSON 도구
- 랜더러
6.프로그램 문장을 하나씩 번역하고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
- 인터프리터
7.프로그래밍 언어 종류
알고리즘의 연구 개발에 이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생성한 절차적 프로그래밍 언어
- 알골
과학계산에서 필수적인 기능들이 내장된 과학 기술 전문 절차적 프로그래밍 언어
- 포트란
기본적인 문법은 파스칼 문법에 여러 기능이 추가되어 존재하는 객체지향 언어
- 델파이
인터프리터 방식의 스크립트 언어
- 펄
수학 표기법을 나타내기 위한 목적으로 생성된 함수형 언어
- 리스프
논리식을 기반으로 객체 간의 관계에 관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하는 논리형 언어
- 프롤로그
8.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의 구성요소(객클메)
- 객체, 클래스, 메서드
9.변수, 상수, 함수 등 서로 구분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이름
- 식별자
10.접근제어자의 종류
public, protected, default, private
public - 외부의 모든 클래스에서 접근이 가능한 접근 제어자(+)
protected - 같은 패키지 내부와 하위 클래스에서 접근이 가능한 접근 제어자(#)
default - 같은 패키지 내부에 있는 클래스에서 접근이 가능한 접근 제어자(~)
private - 같은 클래스 내에서만 접근이 가능한 접근 제어자(-)
11.파이썬 자료형
세트형, 리스트형, 튜플형, 딕셔너리형
세트형 - 중복된 원소를 허용하지 않는 집합의 성질을 가지고 있는 자료구조 - { }
리스트형 - 크기가 가변적으로 변하는 선형리스트의 성질을 가지고 있는 자료구조 - [ ]
튜플형 - 초기에 선언된 값에서 값을 생성, 삭제, 수정이 불가능한 형태의 자료구조 - ( )
딕셔너리형 - 키와 값으로 구성된 객체를 저장하는 구조로 되어 있는 자료구조 - { }
키도 중복되면 안되므로 세트와 딕셔너리형이 같다!
12.C++에서 std::cout, std::cin 등을 사용하기 위해서 사용해야 하는 헤더
- iostream
13.C++에서 출력 함수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함수
- std::cout
14.C언어에서 scanf를 사용하기 위해서 사용해야 하는 헤더
- stdio.h
15.문자의 아스키코드
65 - A 90 - Z
97 - a 122 - z
자바의 ArrayList에서 remove(2); 2번지에 있는 값 제거
파이썬의 세트형, 리스트형에서 remove(2);는 2라는 값을 제거
a[0 : 3 : 2] -> 0번지부터 3번지 바로 전인 2번지까지 2스텝을 띄어서 출력 -> 0번지, 2번지 출력
'Certificate > 정보처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처리기사 실기 키워드 정리(8장) (0) | 2021.09.04 |
---|---|
정보처리기사 실기 키워드 정리(7장) (0) | 2021.09.04 |
정보처리기사 실기 키워드 정리(5장) (0) | 2021.09.03 |
정보처리기사 실기 키워드 정리(4장) (0) | 2021.09.03 |
정보처리기사 실기 키워드 정리(3장) (0) | 2021.09.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