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운영체제의 핵심이 되는 기능들이 모여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 커널
2.컴퓨터 터미널에서 CLI의 명령 대기 모드
- 프롬프트
3.유닉스 계열 파일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자료구조
- i-node
4.가상 메모리 주소를 실제 메모리 주소로 변환하는 장치
- MMU(Memory Management Unit)
5.메모리 관리 기법의 종류(반배할교)
- 반입 기법, 배치 기법, 할당 기법, 교체 기법
반입 기법 - 주기억장치에 적재할 다음 프로세스의 반입 시기를 결정(When)
배치 기법 - 프로세스를 주기억장치의 어느 위치에 저장할 것인지 결정(Where)
할당 기법 - 프로세스를 주기억장치에 어떤 방법으로 할당할 것인지 결정(How)
교체 기법 - 재배치 기법으로 주 기억장치의 어떤 프로세스를 제거할 것인지 결정(Who)
6.메모리 배치 기법의 종류(초적악)
- 최초 적합, 최적 적합, 최악 적합
7.프로세스 상태 전이의 종류(디타블웨)
준비 상태에 있는 여러 프로세스 중 실행될 프로레스를 선정하여 CPU 할당 / 준비->실행
- 디스패치
CPU를 할당받은 프로세스는 지정 시간이 초과하면 다시 준비 상태로 전이 / 실행 -> 준비
- 타이머 런 아웃
실행 상태의 프로세스가 입출력이나 사건이 발생하면 CPU를 반납하고 대기 / 실행 -> 대기
- 블록
입출력이 종료되면 입출력 종료 사실을 알려주고 준비 상태로 전이 / 대기 -> 준비
- 웨이크 업
8.프로세스 스케줄링 주요 용어
- 서비스 시간, 응답시간, 평균 응답시간, 대기시간
서비스 시간 - 프로세스가 결과를 산출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
응답시간 - 프로세스들이 입력되어 수행하고 결과를 산출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
응답시간=대기시간+수행시간
평균 응답시간 - 대기 큐의 프로세스가 결과를 산출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 평균
대기시간 - 프로세스가 프로세서에 할당 대기까지 큐에 대기하는 시간
평균 대기시간 - 프로세스가 대기 큐에서 대기하는 평균 시간
시간 할당량 - 한 프로세스가 프로세서를 독점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서비스되는 시간 할당량
응답률 - (대기시간 + 서비스시간) / 서비스 시간 - HRN 스케줄링에서 사용
9.프로세스 스케줄링의 유형
- 선점형 스케줄링, 비선점형 스케줄링
10.선점형 스케줄링 알고리즘 종류(SMMR)
라운드 로빈, SRT, MLQ, MLFQ
프로세스는 같은 크기의 CPU 시간을 할당받아 순서대로 수행
- 라운드 로빈
준비 큐에 있는 가장 짧은 시간이 소요되는 프로세스를 먼저 수행
- SRT
작업들을 여러 종류 그룹으로 분할, 여러 개의 큐를 이용하여 독립된 스케줄링 수행
- MLQ
FCFS와 라운드 로빈 기법을 혼합하여 큐마다 다른 시간 할당하여 수행
- MLFQ
11.비선점형 스케줄링 알고리즘 종류(우기 HFS)
우선순위, 기한부, HRN, FCFS, SJF
우선순위 - 프로세스별 우선순위가 주어지고 우선순위에 따라 CPU를 할당(동일 순위는 FCFS)
기한부 - 작업들이 명시된 시간이나 기한 내에 완료되도록 계획
프로세스가 대기 큐에 도착한 순서에 따라 CPU를 할당(FIFO 알고리즘)
- FCFS
가장 작은 서비스 시간을 갖는 프로세스가 종료 시 까지 자원 점유
- SJF
대기 중인 프로세스 중 현재 응답률이 가장 높은 것을 선택 / SJF의 약점인 기아현상 완화
- HRN
HRN의 우선순위 = (대기시간 + 서비스시간) / 서비스 시간
12.시스템에 부하가 많아서 준비 큐에 있는 낮은 등급의 프로세스가 무한정 기다리는 현상
- 기아 현상
13.오랫동안 기다린 프로세스에게 우선순위를 높여주도록 처리하는 기법
- 에이징
14.다중 프로세싱 환경에서 두 개 이상의 프로세스가 특정 자원 할당을 무한정 대기하는 상태
- 교착 상태
15.어떤 프로세스에 계속적으로 페이지 부재가 발생하여 프로세스의 실제 처리 시간보다 페이지 교체 시간이 더 많아지는 현상
- 스레싱(Thrashing)
16.프로세스가 많이 참조하는 페이지들의 집합을 주기억장치에 계속 상주하게 하여 빈번한 페이지 교체 현상을 줄이는 기법
- 워킹 세트(Working Set)
17.프로세스가 기억장치 내의 모든 정보를 균일하게 참조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 부분만을 집중적으로 참조하는 성질
- 지역성
2개 이상의 스위치가 여러 경로로 연결될 때, 무한 루프 현상을 막기 위해서 우선순위 따라 1개의 경로로만 통신하도록 하는 프로토콜
- STP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오류가 발생하면 수신 측은 오류의 발생을 송신 측에 알리고, 송신 측은 오류가 발생한 프레임을 재전송하는 방식으로 오류 검출 후 재전송하는 방식은 무엇인가?
- ARQ
사물통신, 사물인터넷과 같이 대역폭이 제한된 통신환경에 최적화하여 개발된 푸시기술 기반의 경량 메시지 전송 프로토콜
- MQTT
웹에서 제공하는 정보 및 서비스를 이용하여 새로운 소프트웨어나 서비스, 데이터베이스 등을 만드는 기술
- Mashup
기존 무선 랜의 한계 극복을 위해 등장하였으며, 대규모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생성에 최적화되어 차세대 이동통신, 홈 네트워킹, 공공 안전 등의 특수목적을 위한 새로운 방식의 네트워크 기술
- Mesh Network
TCP 흐름제어기법 중 프레임이 손실되었을 때, 손실된 프레임 1개를 전송하고 수신자의 응답을 기다리는 방식으로 한 번에 프레임 1개만 전송할 수 있는 기법
- Stop and Wait
운영체제가 필요로 하는 파일에 대한 정보를 갖고 있는 제어 블록이며, 보통 보조기억장치 내에 저장되어 있다가 해당 파일이 개방(Open)될 때 주기억장치로 이동되는 제어 블록은 무엇인가?
- 파일 디스크립터(File Descriptor)
18.클라우드 컴퓨팅 유형
- 인프라형 서비스(IaaS), 플랫폼형 서비스(PaaS), 소프트웨어형 서비스(SaaS)
IaaS - 서버, 스토리지 같은 시스템 자원을 클라우드로 제공하는 서비스(AWS EC2)
PaaS - 애플리케이션을 개발, 실행, 관리할 수 있게 하는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비스(AWS Lambda)
SaaS - 소프트웨어 및 관련 데이터는 중앙에 호스팅되고 사용자는 서비스 형태로 이용하는 서비스(Google Drive)
19.가상화 기술 요소
- 컴퓨팅 가상화, 스토리지 가상화, I/O 가상화, 컨테이너, 분산처리 기술, 네트워크 가상화
컴퓨팅 가상화 - 물리적으로 컴퓨터 리소스를 가상화하여 하나의 시스템에서 여러 OS 동시 기동 효과
스토리지 가상화 - 스토리지와 서버 사이에 소프트웨어/하드웨어 계층을 추가하여 스토리지를 논리적으로 제어 및 활용 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
I/O 가상화 - 서버와 I/O 디바이스 사이에 위치하는 미들웨어 계층으로, 서버의 I/O 자원을 물리적으로 분리
컨테이너 - 애플리케이션들이 단일 운영체제상에서 실행되도록 해주는 기술
분산처리 기술 - 여러 대의 컴퓨터 계산 및 저장능력을 이용하여 처리하는 기술
네트워크 가상화 - 물리적으로 떨어져있는 장비들을 연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가상 네트워크 지원하는 기술
20.클라우드 컴퓨팅 분류
- 사설 클라우드, 공용 클라우드,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기업 또는 조직 내부에서 보유하고 있는 컴퓨팅 자원을 사용하여 구축되어 있는 클라우드
- 사설 클라우드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업체에서 다중 사용자를 위한 컴퓨팅 자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클라우드
- 공용 클라우드
사설 클라우드 + 공용 클라우드
-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21.IPv4 및 IPv6의 전송방식
IPv4 - 유니캐스트 / 멀티캐스트 / 브로드캐스트 (32비트를 8비트씩 표현)
IPv6 - 유니캐스트 / 멀티캐스트 / 애니캐스트 (128비트를 16비트씩 표현)
1:1로 트래픽 또는 메세지를 전송하는 프로토콜
- 유니캐스트
여러 명의 특정한 그룹의 수신자들에게 동시 전송할 수 있는 프로토콜
- 멀티캐스트
하나의 송신자가 같은 서브 네트워크상의 모든 수신자에게 전송할 수 있는 프로토콜
- 브로드캐스트
단일 송신자로부터 잠재적인 수신자 그룹 안에서 가장 가까운 노드로 연결시키는 프로토콜
- 애니캐스트
22.IPv4 클래스 분류
- A 클래스, B클래스, C클래스, D클래스, E클래스
A 클래스 - 범위 0.0.0.0 ~ 127.255.255.255
B 클래스 - 범위 128.0.0.0 ~ 191.255.255.255
C 클래스 - 범위 192.0.0.0 ~ 223.255.255.255
D 클래스 - 멀티캐스트 용도로 예약된 주소 (범위 224.0.0.0 ~ 239.255.255.255)
E 클래스 - 연구를 위해 예약된 주소 (범위 240.0.0.0 ~ 255.255.255.255)
23.IPv4에서 IPv6으로 전환 방법
- 듀얼 스택, 터널링, 주소 변환
IP 계층에 두 가지(IPv4, IPv6) 프로토콜이 모두 탑재되어 있고 IP 스택을 선택
- 듀얼 스택
IPv6 망에서 인접한 IPv4 망을 거쳐 다른 IPv6 망으로 통신할 때 사용하는 방법
- 터널링
24.한 컴퓨터가 다른 컴퓨터처럼 똑같이 작동하도록 하는 기법
- 에뮬레이션
25.데이터 링크(2) 계층 프로토콜
점대점 방식이나 다중방식의 통신에 사용되는 비트 중심의 데이터 링크 프로토콜
- HDLC
두 통신 노드 간의 직접적인 연결을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데이터 링크 프로토콜
- PPP
프로토콜 처리를 간략화하여 고속의 데이터 전송 기술
- 프레임 릴레이
정보전달의 기본단위를 53바이트 셀 단위로 전달하는 비동기식 시분할 다중화 방식 전송 기술
- ATM
26.네트워크 계층(3) 프로토콜
IP, ARP, RARP, ICMP, IGMP, 라우팅 프로토콜
IP - 네트워크 정보를 주고 받는데 사용하는 프로토콜
ARP - IP 주소를 MAC 주소로 변환하는 프로토콜
RARP - MAC 주소를 IP 주소로 변환하는 프로토콜
ICMP - IP 패킷을 처리할 때 발생되는 문제를 알려주는 프로토콜
화상회의, IPTV 에서 활용되는 프로토콜
- IGMP
라우팅 프로토콜 - 여러 경로 중 최적의 경로를 설정해주는 라우터 간 상호 통신 프로토콜
27.라우팅 프로토콜
- RIP, OSPF, BGP, IGRP
거리 벡터 알고리즘(벨만-포드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개발된 내부 라우팅 프로토콜
- RIP
OSPF - Link-State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최단 경로를 찾는 라우팅 프로토콜
AS 상호 간에 경로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라우팅 프로토콜 / 큰 규모에 적합
- BGP
RIP의 문제점을 개선 / 네트워크 상태를 고려하여 라우팅
- IGRP
벨만 포드-알고리즘 사용하는 알고리즘
- 거리벡터 알고리즘
다익스트라 알고리즘 사용하는 알고리즘
-링크 상태 알고리즘
28.OSI 7 계층
application, presentation, session, transport, network, data Link, physical
응용 계층(7) - 사용자와 네트워크 간 응용서비스 연결, 데이터 생성
-> 프로토콜은 HTTP, SMTP, FTP, Telnet ...
표현 계층(6) - 데이터 형식 설정과 부호교환, 암/복호화
-> 프로토콜은 JPEG, MPEG
세션 계층(5) - 연결 접속 및 동기제어 / 대화 유지
-> 프로토콜은 RPC, NetBIOS
원격 프로시저 호출이라고 불리며, 다른 주소 공간에서 함수나 프로시저를 실행할 수 있는 프로세스 간 통신에 사용되는 프로토콜
- RPC
응용계층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게 API를 제공하여 상호 통신할 수 있는 프로토콜
- NetBIOS
전송 계층(4) - 데이터 분할과 재조립, 흐름 제어, 오류 제어, 혼잡 제어
-> 프로토콜은 TCP, UDP 단위는 세그먼트 // L4 스위치
네트워크 계층(3) - 단말 간 데이터 전송을 위한 최적 경로 제공
-> 프로토콜은 IP, ICMP 단위는 패킷 // 라우터, 게이트웨이
데이터 링크 계층(2) - 인접 시스템 간 데이터 전송, 전송 오류 제거
-> 프로토콜은 HDLC, PPP 단위는 프레임 // 장비는 브리지, 스위치
물리 계층(1) - 0과 1의 비트 정보를 회선에 보내기 위한 전기적 신호 변환
-> 프로토콜은 RS-232C 단위는 비트 // 장비는 허브, 리피터
OSI 3계층에서 사용하며 결정 경로에 따라 트래픽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장비
- 라우터
다양한 네트워크를 상호 연결하는 컴퓨터 네트워크의 일부로 경로를 제공하는 망
- 백본망
2계층 장비, 프레임을 목적지 MAC 주소 기반으로 빠르게 전달하기 위한 장비
- 스위치
서로 다른 통신망, 프로토콜 을 사용하는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장비
- 게이트웨이
불법 침입과 내부의 불법 정보 유출 방지하고 차단하는 보안 시스템
- 방화벽
29.통신을 원하는 두 단말장치가 패킷 교환망을 통해 패킷을 전달하기 위한 통신 프로토콜
- X.25
30.ISDN을 사용하기위한 프로토콜로 ITU-T에 의해 표준으로 작성되었음
- 프레임 릴레이
31.비동기 전송모드라고하는 광대역 전송에 쓰이는 스위칭 기법
- ATM
32.ATM의 3계층
- AAL, ATM, 물리 계층
33.데이터를 전송하는 동안만 네트워크 자원을 사용하도록 하는 통신 방식
- 패킷 스위칭
34.네트워크 리소스를 특정 사용층이 독점하도록 하는 통신 방식
- 서킷 스위칭
35.개발환경 인프라 구성 방식
- 온프레미스 방식, 클라우드 방식, 하이브리드 방식
외부 인터넷 망이 차단된 상태에서 인트라넷망만을 활용하여 개발환경을 구축하는 방식 / 데이터와 정보 유출이 민감할 경우 해당 장비를 자체 구매하고 특정 공간에 개발환경 구축
- 온프레미스 방식
클라우드 공급 서비스 회사 서비스를 임대하여 개발 환경을 구축
- 클라우드 방식
온프레미스 방식 + 클라우드 방식
- 하이브리드 방식
36.콘텐츠를 효율적으로 전달하기위해 여러 노드를 가진 네트워크에 데이터를 저장하여 제공하는 시스템
- CDN(Contents Delivery Network)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저작권 관리 구성요소
- 콘텐츠 제공자, 콘텐츠 분배자, 패키저, 보안 컨테이너, DRM 컨트롤러, 클리어링 하우스
배포된 콘텐츠의 이용 권한을 통제
- DRM 컨트롤러
라이선싱을 중개하고 라이선스 발급을 수행하는 정산소
- 클리어링 하우스
2.네트워크 상의 데이터에 중요도를 분류하고 우선 순위를 정하여 데이터 전송
- QoS
3.멀티미디어 관련 오소 기술들이 통일된 형태로 상호 운용성을 보장하는 멀티미디어 표준 규격
- MPEG-21
4.디지털 콘텐츠/ 웹 서비스 권리 조건을 표현한 XML 기반의 마크업 언어
- XrML
5.각종 재해에 대비해 시스템을 회복 가능한 상태로 만들기 위해 준비하는 작업
- 백업
6.백업의 유형
- 전체 백업, 차분 백업, 증분 백업
마지막 전체 백업 이후의 변경된 모든 데이터 백업
- 차분 백업
정해진 시간을 기준으로 그 이후에 변경된 파일만을 백업
- 증분 백업
'Certificate > 정보처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처리기사 실기 키워드 정리(10장) (0) | 2021.09.05 |
---|---|
정보처리기사 실기 키워드 정리(9장) (0) | 2021.09.05 |
정보처리기사 실기 키워드 정리(8장) (0) | 2021.09.04 |
정보처리기사 실기 키워드 정리(7장) (0) | 2021.09.04 |
정보처리기사 실기 키워드 정리(6장) (0) | 2021.09.04 |